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칼럼 20/20] 소통의 리더십

사진1. 벤 로즈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의 딸 엘라가 대통령 집무실 바닥을 기어가면서 놀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바닥에 엎드려 엘라와 눈을 맞추며 웃고 있다.     사진2. 스페이스 셔틀 팀원들이 백악관을 방문했다. 사진 촬영이 끝난 후 오바마가 팀원들과 함께 사진 촬영을 위해 치웠던 소파를 제자리로 돌려 놓고 있다.   사진3. 2016년 새해 국정연설을 앞두고 오바마가 코디 키넌 연설비서관과 회의를 하고 있다. 오바마는 한 발을 탁자 위에 올린 채 서 있고, 맞은편의 키넌은 두 발을 탁자에 올리고 비스듬히 앉아 있다.     2015년 오바마 대통령 시절 백악관이 ‘올해의 사진’이라고 발표한 사진 중 일부의 설명이다. 비교적 상하관계가 엄격하지 않은 미국 사회에서도 파격적인 장면이다. 직위와 계층을 구분하지 않고 소통하는 대통령의 모습을 보여준다. 백악관을 방문한 한 흑인아이가 대통령도 곱슬머리인지 궁금하다고 하자 기꺼이 머리를 숙여 만지게 했던 일화는 유명하다.     한국에서 새 대통령이 선출됐다. 당선 첫 행보로 윤석열 당선인은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용산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청와대를 임기 시작인 5월 10일 국민에게 개방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가 처음 나왔을 때는 한국 현대사에서 제왕적 권위의 상징이었던 청와대를 떠나는 것이 초점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소통의 문제로 바뀌었다. 집무실 이전 발표 전 참모진과의 소통, 국민들의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문제점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했다는 의견이다. 청와대는 그동안 소통 부재의 ‘구중궁궐’이었다. 소통 부재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된 집무실 이전이 또다른 소통 부재를 부르고 있다. 소통은 공간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의 문제라는 말까지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의 한국은행 총재 후보지명을 놓고도 청와대와 당선인 측은 소통이 순조롭지 못하다. 청와대는 “당선인 측 의견을 들은 것”이라 했고, 당선인 측은 “협의·추천한 적 없다”고 말한다. 소통 부재가 불러온 충돌이다.     대통령 재임기간 중 오바마는 관료 및 대중과의 소통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소탈한 인간성을 바탕으로 타인의 말을 경청하고 자신의 의사를 진정성 있게 전달했다. 오바마 시절 관료들은 반대파까지 끌어안는 그의 소통 방식을 높게 평가했다. 연설을 듣는 대중은 마치 대통령이 자신에게만 말하는 것 같은 친밀감을 느꼈다고 한다.     리더십 전문가 존 발도니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기고에서 “오바마의 소통 정치는 국민들로 하여금 대통령에 대해 신뢰를 갖게 한다”며 “소통은 정책 추진에 있어 국민의 협력과 동의를 이끌어 내는 주요 기술”이라고 강조한다.     소통은 공감을 동반한다. 자신의 의견을 타인에게 전달해 상호간 공감대를 만드는 것은 정치인이 갖춰야 할 능력이다. 공감이 생겨야 신뢰도 구축된다. 오바마 대통령이 ‘오바마케어’ 보험을 관철시킨 것도 공화당 반대 의원들을 하나하나 설득해 소통에서 공감으로, 다시 신뢰로 이어지는 과정이었다.     경영학의 소통 연구 전문가인 앤클 루트라 박사는 “훌륭한 소통 기술은 리더가 가진 가치나 신념을 대중들이 쉽게 이해하고 협력할 수 있게 만든다”며 “지도자가 갖는 여러 자질 중에서 가장 으뜸인 것은 ‘소통’에서 나오는 리더십”이라고 말한다.     소통은 수평적 관계에서 가능하다. 수직적 관계의 소통은 명령이나 지시에 가깝다. 역대 한국의 대통령은 소통의 문제에서 많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지만 결국은 ‘불통’으로 임기를 마감했다. 이제 다시 새 대통령에게서 ‘소통의 리더십’을 기대해 본다. 김완신 / 논설실장칼럼 20/20 리더십 소통 소통 부재 소통 국민들 소통 정치

2022-03-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